신장은 혈액 여과, 노폐물 배설, 수분 / 전해질 / 산-염기 균형 조절, 호르몬 분비(레닌, EPO, 비타민 D 활성화)를 통해 우리 몸의 내부 환경을 깨끗하고
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생명 유지의 핵심 기관입니다.
| 종류 | 설명 |
|---|---|
| 급성 신부전 | 갑작스럽게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 상태로 탈수, 약물, 감염 등으로인해 발생하며, 일시적이고 회복이 가능함 |
| 만성 신부전 | 신장 기능이 서서히 저하되며 3개월 이상 지속되며 당뇨병, 고혈압 등이 주요 원인 |
| 신장염 | 신장 내부 염증으로 감염, 면역 반응 등으로 인해 급성 또는 만성으로 진행됨 |
| 다낭신장증 | 유전적으로 신장에 다수의 낭종이 형성되어 점차 기능 저하를 유발 |
| 신장 결석 | 신장 내 결석이 생겨 통증이나 배뇨 문제를 유발 |
| 신장 종양 | 신장에 생기는 양성 또는 악성 종양으로 조기진단 및 치료가 중요 |
당뇨병, 고혈압 등
다낭신장증, 결석 등
신우신염, 요로 감염
자가면역질환 (루푸스, 사구체신염 등)
NSAIDs, 항생제, 불법 약물, 과도한 음주
가족력 등
비만, 과도한 나트륨 · 단백질 섭취
노화, 탈수 등
| 증상 종류 | 구체적 내용 |
|---|---|
| 피로감 | 체내 노폐물 축적으로 인한 에너지 저하 |
| 부종 | 발, 다리, 얼굴 등 체액 저류로 인한 붓기 |
| 소변 변화 | 소변량 감소 / 증가, 색변화, 거품 등 |
| 고혈압 | 신장의 혈압 조절 기능 저하 |
| 식욕 저하 | 메스꺼움, 체중 감소 등 |
| 가려움증 | 독소 배출 저하로 인한 피부 가려움 |
| 요통 | 신장 염증이나 결석으로 인한 통증 |
| 호흡 곤란 | 체액이 폐로 이동해 발생 가능 |
| 불면증, 집중력 저하 | 전신 컨디션 저하로 인한 정신적 문제 |
| 심장 문제 | 전해질 불균형에 따른 부정맥 등 |
신장병은 초기에 증상이 없거나 경미할 수 있어 "침묵의 장기"로 불립니다.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합니다.신장병은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를 통해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.
규칙적인 운동, 균형 잡힌 식습관, 충분한 수분 섭취, 정기적인 건강검진이 신장 건강을 지키는 핵심입니다.
특히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, 정기적인 신장 기능 검사와 전문의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.
GFR 계산 : 크레아티닌 수치, 나이, 성별, 인종을 활용해 추정 (eGFR)
단백뇨의 중요성 : GFR과 별도로 소변 알부민 / 크레아티닌비율 (ACR)이 예후 판정에 중요합니다.
진행 속도 : 당뇨병, 고혈압, 지속적 단백뇨, 흡연은 진행을 가속합니다.
예방 : 조기 발견 시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. 고위험군(당뇨 / 고혈압 환자)은 장기 검진 필수
만성신장병은 초기 단계(1 ~ 3a)에 증상이 없어 방치되기 쉬우며, 정기적 신기능 검사가 가장 중요합니다.
의심 증상이 있다면 즉시 신장내과 상담을 권장합니다.